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82

단순언어장애란?

Ⅰ. 정의 1. 명칭의 다양성(Nelson, 1993)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language-learning disability functional language disorder minimally brain damaged 2. Leonard(1998)의 단순언어장애 조건 (1) 언어능력이 정상보다 지체되어야 한다. 표준화된 검사에서 그 결과가 -1.25 표준편 차 이하에 속하여야 한다. (2) 지능이 정상범주에 속하여야 한다. 비언어성 지능검사의 지능지수가 85이상이어야 한다. (3) 청력에 이상이 없어야 하며 진단시 중이염을 앓고 있지 않아야 한다. (4) 간질, 뇌성마비, 뇌손상과 같은 신경학적 이상을 보이지 않아야 하며 간질이나 신경 학적 문제로 인해 약물을 복..

책꽂이정리 2022.01.12

찐 강추!) 맘티처!!! 홈티칭 부모님들부터 유아관련 선생님들 모두 여기로!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글을 씁니다. 헤헤. 제가 요즘 완전 사랑에 빠진 사이트가 있어요. 바로 맘티처! 아시는 분들도 있겠죠? 저는 왜 이제 알았을까요?? 진짜 이렇게 좋은데 무료로 학습 프린트물을 출력해서 사용할 수 있다니요!! 힝. 사랑해요. 이렇게 추천 자료도 뜨고요 한글 학습지도 있그 동화자료도 있그 창의미술도 있그 정말 많아요. 그리고 진짜 진짜 좋은거는 우리아이 한글진단 검사 할 수있는데! 무료입니다. 강추!! 웰리미 한글무료진단 검사 한 번씩 해보시길 추천드려요. 분석도 해줍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래요.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 https://mom.mirae-n.com/index.mrn

추천 사이트 2022.01.11

언어재활사 시험공부_ 청각장애

청각장애 발생률 -청각장애 발생률은 노인층으로 갈수록 높아진다. -고위험군 신생아의 경우 청각장애의 발생률이 높아진다. -청각장애 아동은 출생률은 신생아 1000명당 1-2명정도이다. -아동기의 청각장애는 발생률은 적으나 노인층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친다. 2. 귀의 구조 외이도: 고막까지의 관. 외부로부터 청각기관을 보호 S자형. 외이는 소리를 모으는 역할, 음원의 항뱡 지각에 도움. 중이: 외이도를 통해 들어온 음파(진동)을 고막과 이소골이라는 뼈를 통해 내이에 전달. 고막: 외부환경으로부터 고실을 보호, 소리의 진동을 고실내로 전달. 이소골: 추골, 침골, 등골의 3개의 작은뼈로 이루어짐. 고실 이내근: 이소골의 근육들. 강한 음으로부터 수축. 내이보호(고실반사) 고막장근과 등골근 이관: 고실의 환기..

책꽂이정리 2021.08.03

언어재활사 시험공부_ 구개파열

* 구개열 출현빈도, 발생빈도 - 가족력이 있을 때 빈도가 높다. - 구개-안면 기형 중 가장 흔한 기형이다. - 구순열의 경우, 아시안> 백인> 흑인이고 구개열은 모든 인종에게 비슷하다. - 구순구개열> 구순열, 구개열 - 증후군으로 나타나는 경우 20-30%이다. - 초음파로 구개열(입천장 갈라짐)보다 구순열(입술 갈라짐)을 발견하기 쉽다. - 구순열(입술갈라짐)의 경우, 남성이 여성보다 더 높고, 구개열(입천장갈라짐)은 여성이 많다. * 점막하구개파열 - 뼈와 근육에 결함 - 경구개 뼈에 절흔이 있다 - 연구개 정중선에서 관찰되는 푸른 선 - 연인두폐쇄부전이 나타날 수 있다. - 이분 구개수(bifid uvula)가 동반될 수 있다. - 말소리 이상 없으면 수술하지 않는다. 연인두폐쇄부전이 있을 경..

책꽂이정리 2021.08.02

있다/ 없다

안녕하세요~ 있다/ 없다 과제물로 활용하려고 미리캔버스에서 만들었어요. 똑같은 그림자료로 있다/없다가 있고 색을 조금 달리해서 해놓은 있다./없다 그림자료를 만들었어요. 단순하게 있다/없다 개념 공부할 때 또는 보라색 병은 꽃이 있고 노란색 병은 꽃이 없어요. 꽃이 없는 병은? 노란색병 등과 같이 활용하셔도 됩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 해서 사용하세요~ :) 댓글 남겨주시면 힘이 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유아교육자료 2021.08.02

언어재활사 시험공부_ 신경언어장애

*피질하구조: 기저핵(basal ganglia): 회백질구조 -미상핵, 피각(조가비핵), 담창구, 편도체 *뇌신경 10번 미주신경: 구토반사 및 성대의 운동 조절. 7번 안면신경: 입술 오므리기나 입꼬리 당기기 조절. *축삭(AXON): 신경세포의 세포체로부터 나온 신호를 다른 신경세포에 보내는 통로 역할. *외상성 뇌손상 -뇌출혈이 있는 경우 거미막하 출혈이 흔하다. -전두엽손상: 성격장애와 관련. -뇌손상 후 이차적으로 나타나는 뇌부종은 두개골 내 압력을 올린다. *우뇌손상 -주의집중에 어려움을 보인다. -대화 시 감정적 변화가 거의 없다. -문장의 함축된 의미를 이해하지 못한다. -자신의 장애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대화가 짧고 익숙한 과제일 경우 의사소통 결함이 잘 드러나지 않을 수 있..

책꽂이정리 2021.08.02
반응형